실천민속학연구 제43호 게재예정

한채민, (2024), 15년 전쟁기 식민지 조선의 충의의 미학 수용-트랜스내셔널 구스노키 마사시게(楠木正成) 현창을 중심으로-, 실천민속학 연구 43
(Acceptance of the Aesthetics of loyalty in colonial Joseon during the 15-year war - Centered on Commemoration of Transnational Masashige Kusunoki -)


발행일: 2024년 2월 28일


본 논문은 15년 전쟁기 식민지 조선에서 일본 역사 속의 영웅 구스노키 마사시게를 통해 선전된 ‘충의의 미학’이 어떻게 근대국민국가의 국민 정체성을 구축하는 데 활용되었는지 일본어 신문과 한글 신문의 기사를 검토하며 고찰하였다. 즉 마사시게를 통한 ‘충의의 미학’은 15년 전쟁기라는 특정 시기에 국민의 통합과 결속을 위해서 집중적으로 선전되었지만, 이를 수용하는 대상이 재조일본인인지 식민지 조선인지에 따라서 다르게 활용되는 양상을 조명하고 그 함의를 밝히고자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통 음악 예능이 일본어 신문에서 주로 다뤄졌다는 것은 식민지 조선에 거주하는 재조일본인들이 마사시게 내러티브를 ‘예능으로서 즐기고 유희하는 가운데’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고 전쟁에 협력하도록 고안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식민지 조선인들에게 마사시게 현창은 지원병제와 징병제라는 근대국민국가에서 국민의 의무 사항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 이는 한국에서 해방 후 일정 시기까지 왜 의무만 강조하고 권리는 없는 경직된 조직 문화를 만들어 갔는지를 이해하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 examines and examines how the "Aesthetics of Loyalty," promoted through the hero of Japanese history Masashige Kusunoki in colonial Joseon during the 15-year war, was used to build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modern nation-state. In other words, the "Aesthetics of Loyalty" through Masashige was promoted intensively for the unity and solidarity of the people during the specific period of the 15-year war, but it was intended to illuminate and clarify the implications of the use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target was a Japanese or a colonial Korea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act that traditional music and entertainment were mainly dealt with in Japanese newspapers shows that the Japanese people living in colonial Joseon were designed to strengthen their sense of community and cooperate in the war while enjoying and playing the Masashige narrative as an entertainment. However, for the colonial Koreans, Masashige Hyeonchang was closely related to the obligations of the people in the modern nation-state of support and conscription. This is believed to help understand why Korea created a rigid organizational culture that emphasized only obligations until a certain period after liberation.